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
IT/Android

11/23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androiddevelopers/making-jellyfish-move-in-compose-animating-imagevectors-and-applying-agsl-rendereffects-3666596a8888 제목 : Making Jellyfish move in Compose: Animating ImageVectors and applying AGSL RenderEffects 요약 : compose 를 이용해 벡터 이미지를 애니메이션으로 동작 시키는 코드를 설명합니다. 좀 더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위해 AGSL 과 runtimeShader 를 사용하는 법을 설명합니다. 2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kayvan-kaseb/understan.. 더보기
11/22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sungbinland/%EC%95%88%EB%93%9C%EB%A1%9C%EC%9D%B4%EB%93%9C12%EC%9D%98-%EC%83%88%EB%A1%9C%EC%9A%B4-%EB%94%94%EC%9E%90%EC%9D%B8-%EC%8B%9C%EC%8A%A4%ED%85%9C-material-you-b0c4714fa6ed 제목 : 안드로이드12의 새로운 디자인 시스템: Material You android 12 에서 공개된 material you 디자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합니다. m1, m2 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고 m3 에 대해서 소개합니다. 색상 팔레트의 추가와 앱바, 바텀 네비게이션 바, 플로팅 액션바, 버튼, chips, 배지, 다이알로그, Elev.. 더보기
11/21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hongbeomi-dev/data-binding-tip-4f8f7ce17baf 제목 : Data Binding — More 요약 : Data binding 이 빌드 되면 어떤일이 벌어지는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. layout 및 data 태그가 사라지고 뷰의 id 가 없어도 각 뷰를 찾을 수 있는 이유는 각 뷰에 android:tag 라는 뷰속성이 추가되면서 찾을수 있습니다. recyclerview 의 아이템으로 사용되는 레이아웃에 item 이 제네릭 타입이라 바인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setBR 을 이용하여 바인딩 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 바인딩 라이브러리는 모듈 패키지에 BR 이라는 클래스를 생성하는데, 이 클래스에는 데이터 바인딩에 사용된 리소스의.. 더보기
11/18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better-programming/how-to-validate-fields-using-jetpack-compose-in-android-5ea1522331c7 제목 : How to Validate Fields Using Jetpack Compose in Android 요약 : email 같은 validate 체크를 해야 하는 field 에 유효성 검사 결과에 따라 오류 메세지를 compose 로 표시하도록 하는 코드를 구현하는 법에 대해서 예시를 보여줍니다. 2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androiddevelopers/agsl-made-in-the-shade-r-7d06d14fe02a 제목 : AGSL: Made in the Shade(r.. 더보기
11/17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@theAndroidDeveloper/derivedstateof-a-definitive-guide-on-when-to-use-it-420985c9d296 제목 : derivedStateOf() – A definitive guide on when to use it 요약 : derivedStateOf 에 대해서 설명하고, 언제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 값이 같을때도 할당하게 되면 recomposition 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때 이를 방지하고자 할때 실제로 값이 변경되었을때만 recomposition 이 일어나도록 할때 derivedStateOf 를 사용합니다. 2. 출처 : https://sungbin.land/%ED%94%8C%EB%9F%AC%E.. 더보기
11/16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@lissandrahinojosa/kotlin-nested-and-inner-classes-easy-explained-when-to-use-1645092be5a1 제목 : Kotlin nested and inner classes — easy explained & when to use 요약 : nested class 와 inner class 를 비교하여 설명합니다. class 안에 class 를 선언한 것이 nested class 이고 nested class 는 static 처럼 동작합니다. inner class 는 class 안에 inner class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것이 inner class 이고, 외부 객체를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외부.. 더보기
11/15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hongbeomi-dev/jetpack-compose-doc-%EC%9D%BD%EA%B8%B0-part1-%EA%B8%B0%EC%B4%88-9a11fd0327cc 제목 : Jetpack Compose Doc 읽기 — Part1[기초] 요약 : Compose 의 side effect 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 side effect 의 다양한 api 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합니다. effect 는 UI 를 방출하지 않고 composition 이 완료되면 side-effect 를 발생하는 composable 함수입니다. LaunchedEffect, rememberCoroutineScope, rememberUpdateState, DisposableEffect, Side.. 더보기
11/13 read post 1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@kyledeguzmanx/what-are-proxy-servers-4df13d91b676 제목 : What are Proxy Servers? 요약 : proxy server 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 proxy server 를 이용하여 서버를 해커와 기타 조작에 대해서 보호할 수 있습니다.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숨길수 있고, 역방향 프록시를 사용하면 서버를 숨길수 있습니다. 2. 출처 : https://medium.com/@amitshekhar/rxjava-subject-publish-replay-behavior-and-async-b9ef723539ce 제목 : RxJava Subject — Publish, Replay, Beha.. 더보기

728x90
반응형